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sideslip
- dutch roll
- directional stability
- dihedral effect
- 13년도 공단 기출문제 변형
- 항공안전법
- annex14
- Lead Radial
- Turn radius
- UAM
- ICAO Annex 14
- load factor
- lateral stability
- 2007년 제4차 자가용조종사 변형
- Best Glide Speed
- FPNM
- 2007년 제3차 운송용조종사 변형
- 국제민간항공협약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구배 (1)
비행사의 다이어리

비행기가 얼마만큼 상승하고 또는 얼마만큼 강하해야하는지를 알려주는 Gridient('경사율' 또는 '구배'라고도 한다)는 두 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나는 FPNM(Feet(foot) Per Nautical Mile, ft/NM) 이며, 다른 하나는 %, 즉,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Gradient 를 알고 있으면 어떤거리 만큼 갔을때 그 지점의 높이를 알 수 있게 된다. 가령, Climb gradient 200FPNM 일때, 4NM 지점의 높이는 800ft가 된다. 4 × 200 = 800ft 그리고 Climb gradient 3.3% 일때, 4NM 지점의 높이도 0.132NM, 대략 800ft가 된다. 4 × (3.3 / 100) = 0.132NM (1NM은 6076ft 이므로) ..
계기비행 규칙(IFR)/계기비행 노하우
2020. 7. 14.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