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Best Glide Speed
- directional stability
- FPNM
- 2007년 제4차 자가용조종사 변형
- sideslip
- 2007년 제3차 운송용조종사 변형
- 유해항력
- dihedral effect
- 13년도 공단 기출문제 변형
- dutch roll
- Lead Radial
- ICAO Annex 14
- UAM
- Turn radius
- load factor
- Propeller
- 항공안전법
- lateral stability
- Today
- Total
목록시험 문제 은행/항공법규 (7)
비행사의 다이어리
교통안전공단 항공법규 학과시험 형식 1. 다음 중 말소등록의 사유가 아닌 것은? 1) 항공기가 멸실되었을 때 2) 사고가 난 항공기의 존재여부가 1개월 이상 불분명할 때 3) 임차기간 만료로 항공기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상실되었을 때 4) 외국인에게 항공기를 양도하였을 때 2. 다음 중 특별감항증명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항공기의 제작, 정비, 수리 또는 개조 후 시험비행을 하는경우 2) 항공기의 정비 또는 수리, 개조를 위한 장소까지 승객, 화물을 싣지아니하고 비행을 하는 경우 3) 항공기의 설계에 관한 형식증명을 변경하기 위하여 운용한계를 초과하는 시험비행을 하는 경우 4) 항공기를 수입하거나 수출하기 위하여 승객, 화물을 싣고 비행하는 경우 3. 감항증명서를 반납하여야 하는 경우는? 1) 항..
교통안전공단 항공법규 학과시험 형식 1. "관제구(管制區)"에 대한 정의로 올바른 것은? 1) 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지정하는 비행장 또는 공항과 그 주변의 공역으로서 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m 이상 높이의 공역 2) 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미터 이상 높이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 · 공고한 공역 3) 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기의 항행에 적합하다고 지정한 지구의 표면상에 표시한 200m 이상 높이의 공역 4)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비행장 주변에 장애물의 설치 등이 제한되는 200m 이상 높이의 공역 2. 다음 중 항공기준사고의 범위가 아닌 것은? 1) 다른 항공기와의 충돌위험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는 500ft 미만의 근접비행 2) 운항..
교통안전공단 항공법규 학과시험 형식 1. 다음 중 항공기의 범위에 해당하는 기기는? 1) 최대이륙중량, 좌석 수, 속도 또는 자체중량 등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항공기의 기준을 초과하는 기기 2) 연료를 제외한 자체중량이 150kg 이하인 무인헬리콥터 또는 무인멀티콥터 3) 연료를 제외한 자체중량이 180kg 이하고 길이가 20m 미만인 무인비행선 4) 연료를 제외한 자체중량이 150kg 이하고 발동기가 1개 이상인 무인비행기 2. 항공기의 등급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수상다발 비행기 2) 상급 활공기 3) 중급 활공기 4) 하급 활공기 3. 다음 중 항공업무가 아닌 것은? 1) 항공기의 운항관리 업무 2) 조종연습 3) 항공교통관제 4) 경량항공기 또는 그 장비품 및 부품의 정비사항을 확인하는..
교통안전공단 항공법규 학과시험 형식 1. 항공장애 표시등으로 틀린 것은? [답] ① 저광도 표시등 ② 중광도 표시등 ③ 고광도 표시등 ④ 초광도 표시등 2. 요격시 요격항공기의 따라오라는 신호에 '알았다. 지시를 따르겠다.'라는 피요격항공기의 응신으로 맞는 것은? [답] ① 날개를 흔들고 항행등을 불규칙적으로 점멸시킨 후 요격항공기의 뒤를 따라간다. ② 바퀴다리를 내리고 고정착륙등을 킨 상태로 요격항공기의 뒤를 따라간다. ③ 항공기의 보조익 또는 방향타를 움직이고 요격항공기의 뒤를 따라간다. ④ 날개를 흔들고 요격항공기의 뒤를 따라간다. 3. 관제탑과 지상에 있는 향공기와의 무선통신이 두절된 경우, 관제탑에서 보내는 연속되는 녹색신호의 의미는? [답] ① 지상이동을 허가함 ② 이륙을 허가함 ③ 사용중인 ..
교통안전공단 항공법규 학과시험 형식 1. 계기비행의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근의 계기비행 요구량은? [답] ① 6개월 이전에 6시간 이상 ② 3개월 이전에 6시간 이상 ③ 6개월 이전에 3시간 이상 ④ 3개월 이전에 3시간 이상 2. 음주 혈중 알콜 농도 제한치는? [답] ① 0.01% ② 0.02% ③ 0.03% ④ 0.05% 3. 통행의 우선순위와 진로의 양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것은? [답] ① 활공기는 비행선에 진로를 양보한다. ② 비행기는 물건을 예항하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한다. ③ 착륙을 위하여 접근중인 항공기보다 낮은고도에 있는 항공기에 진로의 우선권이 있다. ④ 높은고도에 있는 항공기가 낮은고도에 있는 항공기보다 진로의 우선권이 있다. 4. 기장이 항공기 출발전 확인 및 점검하여야..
교통안전공단 항공법규 학과시험 형식 1. 다음 중 조종사가 형식한정을 받아야 하는 경우는? [답] ① 최대이륙중량 5,700kg 을 초과하는 항공기 ② 1명의 조종사로 운항이 허가된 헬리콥터 ③ 2명 이상의 조종사가 필요한 항공기 ④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하는 형식의 항공기 2. 주의공역 중 많은 조종사들의 훈련 등 비정상적인 항공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공역은? [답] ① 군작전공역 ② 훈련공역 ③ 위험공역 ④ 경계구역 3. 공역위원회의 위원장이 될 수 있는 자는? [답] ① 국방부장관 ② 국토교통부 항공업무를 담당하지 않는 일반직공무원 ③ 국토교통부장관 ④ 국토교통부 항공업무 담당 고위공무원 4. 다음 중 항공기 비치 서류가 아닌 것은? [답] ① 형식증명서 ② 등록증명서 ③ 감항증명서 ④ 탑재용 항공일지..
교통안전공단 항공법규 학과시험 형식 01. 항공법에서 정한 항행안전시설의 정의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답] ① 전파, 불빛, 색채, 소리 또는 형상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시설 ② 유·무선통신, 인공위성, 불빛, 색채 또는 전파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시설 ③ 야간이나 계기비행 기상상태에서 항공기의 위치결정 및 이륙 또는 착륙을 돕기 위한 시설 ④ 야간이나 계기비행 기상상태 및 시계비행 기상상태에서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시설 02. 비행장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하여 모르스 부호에 따라 명멸하는 등화는? [답] ① 비행장식별등대 ② 비행장등대 ③ 항공로등대 ④ 신호항공등대 03. 다음 중 전파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항행안전시설은? [답] ① 항행안전무선시설 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