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ead Radial
- directional stability
- Turn radius
- load factor
- dihedral effect
- 2007년 제3차 운송용조종사 변형
- FPNM
- dutch roll
- Propeller
- 항공안전법
- sideslip
- 유해항력
- 2007년 제4차 자가용조종사 변형
- 13년도 공단 기출문제 변형
- Best Glide Speed
- ICAO Annex 14
- UAM
- lateral stability
- Today
- Total
목록directional stability (2)
비행사의 다이어리
앞서 '방향안정성' 파트에서 방향안정성이 커지는 것이 반드시 좋은 것 만은 아니라고 언급 했었습니다. 즉, 가로안정성 과 방향안정성 중 어느하나가 상대적으로 너무 약하거나 강하면 복원력의 균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왜 가로안정성과 방향안정성은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지 자세히 살펴봅시다. 바로가기 목차 사이드슬립(SIDE SLIP) Free Directional Oscillations(Dutch Roll) Spiral instability Dutch roll VS Spiral instability 사이드슬립(SIDE SLIP)[목차] 대부분의 가로안정성의 복원력은 상대풍을 비스듬히 받게되는 '사이드슬립' 상태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그런데 방향안정성은 그러한 사이드슬립을 없애는 쪽으로 작..
이번에 살펴볼 '방향안정성(또는 수직안정성)'은 비행기의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하는 YAWING 운동에 대한 안정성 입니다. 갑작스럽게 YAWING이 발생하여 비행기의 진행방향과 기수가 일치하지 않게 되었을때 방향안정성은 기수를 다시 진행방향과 일치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간단히 말해, 방향안정성은 SLIP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방향안정성의 이러한 특성은 날개가 기울어(bank)졌을 때 나타나는 사이드슬립(SIDE-SLIP)을 제거하여 비행기가 '선회'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방향안정성에 미치는 요인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방향안정성은 앞서 가로안정성에서 살펴 보았던 용골효과(Keel effect)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그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