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UAM
- 13년도 공단 기출문제 변형
- FPNM
- dihedral effect
- Best Glide Speed
- Turn radius
- 유해항력
- directional stability
- 항공안전법
- 2007년 제3차 운송용조종사 변형
- sideslip
- Lead Radial
- dutch roll
- 2007년 제4차 자가용조종사 변형
- Propeller
- lateral stability
- ICAO Annex 14
- load factor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propwash (1)
비행사의 다이어리

세로안정성이 확보된 일반적인 비행기들은 무게중심(CG)이 항상 양력중심(CL 또는 CP)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로인하여 만들어지는 CG-CL 모멘트를 통제하기 위해 꼬리날개에서 Tail down force(T)를 만들어 T-CL 모멘트로 세로안정성을 유지한다고 1편에서 이야기 하였습니다. 그럼 꼬리날개는 어떻게 Tail down force를 만들어내며, 또한 어떻게 항상 세로안정성이 유지되도록 그 힘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까요? DECALAGE, 그리고 DOWN WASH 일반적인 비행기의 수평안정판(Horizontal stabilizer)은 날개와 시위선의 각도를 달리합니다. 이것을 'Decalage'라고 합니다1. 따라서 날개와 수평안정판은 받음각을 달리하게 되는데요, 이 때문에 날개가 양(+)..
비행기 조종사 학과/비행원리
2020. 8. 19. 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