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lateral stability
- FPNM
- Best Glide Speed
- 유해항력
- 13년도 공단 기출문제 변형
- sideslip
- 2007년 제3차 운송용조종사 변형
- dutch roll
- ICAO Annex 14
- dihedral effect
- directional stability
- load factor
- Turn radius
- 항공안전법
- Lead Radial
- 2007년 제4차 자가용조종사 변형
- UAM
- Propeller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선회반경 (1)
비행사의 다이어리

THE AVIATION CALCULATION 선회반경(또는 선회 반지름; Turn Radius; TR)의 계산 비행기의 모든 운동은 양력과 연관 되어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양력은 비행기에서 제일 커다란 주 날개에서 만들어 진다. 따라서 주 날개를 비스듬하게 기울이면(Bank) 양력의 방향이 비스듬히 기울어 진다. 사이드슬립이 없다는 가정하에 양력이 비스듬히 기울어져 발생하면 비행기는 비행방향이 계속 바뀌게 된다. 즉, 비행 중 선회는 날개의 기울어진 정도(Angle Of Bank; AOB)에 영향을 받으며 이 때 발생한 양력의 수평성분은 선회의 원동력인 '구심력'을 제공한다. 위 그림처럼 수평비행 상태에서 날개에 AOB를 많이 주게 되면 '중력'에 대항하여 양력의 수직성분(Lift y)을 유지시키기 위..
계기비행 규칙(IFR)/60대 1의 법칙과 항법계산
2020. 7. 8. 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