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13년도 공단 기출문제 변형
- load factor
- Propeller
- ICAO Annex 14
- directional stability
- Turn radius
- sideslip
- dihedral effect
- Best Glide Speed
- 2007년 제4차 자가용조종사 변형
- UAM
- 항공안전법
- Lead Radial
- 2007년 제3차 운송용조종사 변형
- 유해항력
- dutch roll
- lateral stability
- FPNM
- Today
- Total
목록양항비 (2)
비행사의 다이어리

왜? 비행기의 무게가 증가해도 최대활공거리는 일정할까? Variations in weight do not affect the glide angle provided the pilot uses the proper airspeed. Since it is the L/D ratio that determines the distance the airplane can glide, weight does not affect the distance flown. (인용 출처: Airplane Flying Handbook, FAA-H-8083-3B, Chapter 3: Basic Flight Maneuvers, Glides(p3-20)) 최대활공속도(BEST GLIDE SPEED)는 최대활공속도는 양력과 항력의 비(이하 양항비..

'양항비'는 말 그대로 비행할때 발생하는 '양력'과 '항력'의 비율 이다. 항공기가 중력에 대항하여 공중에 뜨기 위해서는 '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양력은 항공기의 날개를 통해 두가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데 하나는 '속도(SPEED)' 이며 다른 하나는 '받음각(AOA)'이다. 그리고 떠있는 항공기가 앞으로 나아가면 '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항력'은 크게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나뉘는데, 항공기의 속도는 '유해 항력'(PARASITE DRAG)'을 발생시키고, 항공기의 받음각은 '유도 항력'(INDUCED DRAG)'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항공기가 저속으로 비행 중 일때는 유해항력이 약하게 발생하고, 대신 동일한 양력을 유지하기 위해 큰 받음각을 유지해야 하므로 '유도항력'이 강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