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유해항력
- Turn radius
- Lead Radial
- lateral stability
- Best Glide Speed
- 13년도 공단 기출문제 변형
- FPNM
- 항공안전법
- UAM
- sideslip
- dihedral effect
- ICAO Annex 14
- 2007년 제3차 운송용조종사 변형
- dutch roll
- directional stability
- Propeller
- load factor
- 2007년 제4차 자가용조종사 변형
- Today
- Total
목록장애물 제한표면 (2)
비행사의 다이어리

장마인가? 요새 하늘은 어둡고 간간히 비가온다. 7월 중순인데도 아직까지 바람이 찬것이 신기할 따름. 예전에 내가 학생조종사였던 시절, 한창 계기비행증명을 따기위해 고분분투 하고 있을때, 그때도 아마 여름 이맘때였을 것이다. 계기과정이라 그런지 자가용과정 때랑 다르게 흐린날씨에도 예보상 뇌전이나 장대비 같은 특이사항이 없으면 거의 대부분 비행을 나갔다. 그 때 당시에도 똑같은 주제로 이런 포스팅을 했었는데, 아마 비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첫 포스팅이었을 것이다. 워낙에 계기비행이 재미없고 싫어서 억지로 공부하고 재미붙이기 위해 시작한 것이 바로 글쓰기였다. 그 포스팅도 그 날 새벽에 장대비가 와서 비행이 캔슬되어 만세를 부르고 썼던 글일 것이다. 내가 계기비행을 싫어하는 이유는 별거 없다. 그냥 잠수함탄..

이제 세가지 법률 중 마지막, 공항시설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항시설법에서도 먼저 살펴볼것은 제1장 총칙의 제1조(목적)입니다. 법에서 목적의 중요성은 앞에서 누누히 강조했으므로 또 따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보시다시피 이번에 보게될 공항시설법이라는 것이 공항과 비행장에 관계되고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기위해 제정된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 그럼 바로 제2조(정의)로 넘어가 봅시다. 제2조에서 가장 먼저 살펴볼것은 '비행장'과 '공항'입니다. 이 둘은 언 듯 비슷해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는데요, 비행장은 말 그대로 비행장 입니다만 공항은 '공항시설'을 갖춘 비행장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해놓은 곳을 말합니다. 결국 둘 다 비행장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공항이 좀 더 복잡한 시설(공항시설)을 갖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