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irectional stability
- 2007년 제3차 운송용조종사 변형
- FPNM
- sideslip
- Lead Radial
- dihedral effect
- Propeller
- Turn radius
- dutch roll
- Best Glide Speed
- lateral stability
- load factor
- 항공안전법
- UAM
- ICAO Annex 14
- 유해항력
- 13년도 공단 기출문제 변형
- 2007년 제4차 자가용조종사 변형
- Today
- Total
목록Vg diagram (2)
비행사의 다이어리

우리는 비행이론시간에 Vg 다이어그램을 공부하지만, 특히 소형 항공기를 타는 경우, 막상 Vg 다이어그램을 POH나 AFM에서 찾아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왠지 Vg 다이어그램이 있으면 그 비행기의 운용한계를 쉽게 알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도 그 비행기의 특성을 설명하기 용이 할 것 같아서 하나 만들어 두고는 싶다. 그래서 이번에는 그런걸 원하는 특이한 비행사들을 위해 Vg 다이어그램 그리는 방법에 대한 글을 준비했다. Vg 다이어그램을 그릴 대상으로는, 학생조종사들의 마루타(?)이자 국민 비행기인, 세스나사의 C172S 형식을 택하였다. 1. 준비물 C172S의 POH(Pilot's Operating Handbook), 엑셀(Excel)프로그램, 그리고 인터넷 되는 컴퓨터. 끝. 2. C172S의 운용..

앞서 "실속(Stall)과 하중계수(Load factor)" 글을 통해 비행기에 걸리는 하중(Load)이 증가할수록 실속속도(Stall speed)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하중계수(Load factors)" 글에서 살펴보았듯이 하중이 증가는 무게가 증가한 것 처럼 비행기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비행기의 기체가 버텨낼 수 있는 범위내에서 하중을 제한해야 한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하중에 따라서 변화하는 비행기의 실속속도, 그리고 제한하중, 거기에 기체가 버틸 수 있는 속도의 한계를 반영하여 비행기의 전반적인 운용한계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다이어그램(Diagram)으로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것이 바로 아래 그림과 같은 'Vg 다이어그램'입니다. 여기서 눈여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