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oad factor
- 2007년 제4차 자가용조종사 변형
- directional stability
- Turn radius
- Propeller
- 유해항력
- dihedral effect
- 항공안전법
- lateral stability
- UAM
- 2007년 제3차 운송용조종사 변형
- dutch roll
- sideslip
- Lead Radial
- 13년도 공단 기출문제 변형
- ICAO Annex 14
- FPNM
- Best Glide Speed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86)
비행사의 다이어리
나는 UAM에 관심이 많다. 주식을 많이 가지고 있다. 전에 있던 직장이 드론배송 업체였기도 하고, 일반항공(이하 GA: General Aviation)에서 소형 항공기(경량 아님!) 비행 교관을 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항해사로 배도 탔다. 그런데, 요즘들어 예전 글에서 버티포트 제방빙 패드 건도 그렇고 UAM, 더 정확히는 한국형 UAM, 즉 K-UAM에 대해 자꾸 이상한 이야기가 들린다. 이 K-UAM이 내 예상과는 다르게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 같아 이 글을 적는다. 옛날에 지적했던 전문교육기관의무화 건도 그렇고 대체 왜 우리나라는 항공쪽에서 새로운 먹거리가 생기면 항상 판이 자꾸 에어라인처럼 하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미래지향적인 UAM 산업 분야가, 기존 항공산업랑 다를 거 없거나, 오히려 ..
항공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이라면, 제방빙액( de-icing and anti-icing fluid)이 비행기에 공기역학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착빙(icing)을 없애고, 방지하기 위해 지상에서 비행기에 뿌리는 액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오직 항공기가 지상에서 대기 중일 때만 제방빙을 하기위한 목적임을 알고있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왜냐면, 나도 지금까지 모르고 있었으니까 A common misconception, Herrick said, is that anti-icing fluid will help the aircraft avoid icing at cruise altitude. In fact, the majority of it will have ..
다발 비행기에서 한쪽 엔진만 멈추게 되면 추력선(Thrust line)이 비행기 무게중심을 벗어나게 되어 Yawing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막기 위해서는 살아있는 엔진 쪽으로 Rudder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발생한 Rudder force는 비행기를 옆으로 밀어내게 되고 비행기는 비스듬하게 움직이게 되어 상대풍을 측면에서 받게되는 Side-slip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렇게 옆으로 밀어내는 Rudder force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날개를 살아있는 엔진쪽으로 적절한 Bank를 주어 양력의 수평성분(Horizontal component of lift)으로 반대쪽 방향으로 밀어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한쪽 엔진이 멈춘 다발 비행기가 Side-slip에 들어가지 않고 상대풍을 정면에서..
야매 교관: ... 비행기가 수평선회 중일때 중력과 양력의 수직성분이 같으므로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½*ρ*V^2*CL*S*cos(AOB)=m*g (m은 질량, g는 중력가속도) ∴ m=(½*ρ*V^2*CL*S*cos(AOB))/g 이것을, ½*ρ*V^2*CL*S*sin(AOB)=m*V^2/r 양력의 수평성분과 구심력의 관계를 나타낸 식에 대입하게 되면, ½*ρ*V^2*CL*S*sin(AOB)=m*V^2/r ½*ρ*V^2*CL*S*sin(AOB)=V^2*(½*ρ*V^2*CL*S*cos(AOB))/(g*r) 여기서 ½*ρ*V^2*CL*S는 약분되므로, sin(AOB)=V^2*cos(AOB)/(g*r) 반지름 r을 구하는 식으로 정리하면, r=(V^2*cos(AOB)/sin(AOB))/g..
오랜만에 글을 써본다. 추석연휴라 시간이 난 것도 있지만, 사실상 비행사로서의 반성문이다. 왜냐하면 최근 알게 된 사실이 있었는데, 그것은... 비행계획서에 기입하는 출발 예정 시간은 활주로에서 비행기가 이륙하는 시간이 아니었다!! 라는 것이다...(이 때까지 이륙시간인 줄 알았음;;) 개념 오류 다이어리에 쓸까 하다가, 그냥 이곳에 적는다. 출발 예정 시간? ETD(Estimated Time of Departure)란 무엇인가? 비행계획서에는 출발 예정 시간을 기입하는 항목이 있다. 출발 예정 시간, 우리가 흔히 ETD(Estimated Time of Departure)라고 말한다. 그런데, ETD의 정의에 대해 보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가? SKYbrary? 나도 좀 맹신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번에 ..
제 작년 부터 대부분의 항공업계가 침체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항공업계 한편에서는 비대면 시대, 4차 산업 혁명시대를 맞이 했다고 하면서, 너도 나도 '드론'을 외치고 있었다. 나 역시 대체 '드론'이 뭔지 너무나도 궁금하고, 또 하다보니 어떤 한 작은 드론업체에서 일 할 좋은 기회를 얻게되어 작년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약 6개월간 근무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덤으로 드론 자격증과 드론 지도 조종자 자격까지 취득할 수 있었는데, 그냥 드론 좀 만지다 보니, 겸사 겸사 응시 요건이 되어서 땄을 뿐 이걸로 당장 뭘 할 생각은 없다. 사실 여기에 대해서도 할 말이 많지만, 어째든.. 그럼 6개월간 드론업계를 경험하면서 보고 느낀점들을 풀어 보겠다. 드론 동호회? '드론' 하면 하도 미디어와 언론에서 4차산업..
교관: ......그래서 피치를 조절할 수 있는 프로펠러가 등장하게 되었어요. 학생1: 잠깐만요! 교관님!! 피치를 굳이 조절하지 않아도 RPM 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받음각을 유지할 수 있지 않을까요? 가령 비행기의 속도가 증가했다고 치면, RPM도 같이 올려서 좋은 받음각을 유지할 수 있을것 같은데요. 학생2: 음, 아니 애초에 RPM이 올라가야 비행기 속도가 증가하니깐 피치나 깃각이랑 상관없이 항상 좋은 받음각을 유지하는 거 아닌가요? 반대로 RPM을 떨어뜨려도 비행기 속도도 같이 감소하니깐... 교관: 음, 그러면 비행기가 상승하고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이때는 프로펠러의 RPM이 굉장히 빠른 반면에 비행기의 전진 속도는 느리겠지요. 이때는 RPM이 높더라도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받음각이 커질수 있어..
고정피치 프로펠러(Fixed-Pitch Propeller)의 한계 블레이드의 피치가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있는 프로펠러를 '고정피치(Fixed-Pitch) 프로펠러'라고 합니다. 이러한 고정피치 프로펠러는 비단 비행기 뿐 아니라, 고무동력기 프로펠러부터 드론 프로펠러까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프로펠러 입니다. 앞서 '프로펠러의 기본원리'에서 프로펠러의 RPM과 비행기의 속도가 변하게 되면 프로펠러 블레이드가 받는 상대풍도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프로펠러의 피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양항비가 좋은 받음각(AOA)을 유지하기가 어렵다고 말씀드렸는데요. Thus, propeller AOA is the product of two motions: propeller rotation about ..
2022.3.30 내용추가 : 비행원리 더치 롤 부분 내용을 다시 면밀히 검토하여 수정하였습니다. 더치 롤과 관련해서는 비행원리 카테고리의 Free Directional Oscillations(Dutch Roll) 과 Spiral Instability 글을 확인해 주세요! ※ 내용상 오류, 문제점 등 의견 있으시면 꼭 알려주세요! 요근래 더치롤(Dutch Roll)의 과정에 대한 질문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원래 그러하듯이 아무생각 없이 제가 알고있는 "더치롤"을 바탕으로 답변을 달아드렸습니다. 하지만, 워낙 오래되어 까먹은 내용이 많았던 까닭에, 제 스스로도 더치롤에 대한 지식을 다시 한번 점검해보고자 여기저기 인터넷을 서치해가며 참고문헌들을 찾아보았습니다. 먼저, PHAK(2016)의 더치롤. If t..